Flutter를 사용해 앱 개발을 시작하려는 초보자를 위해, Windows 환경에서 CLI로 Flutter 개발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이 튜토리얼은 Flutter SDK 설치, 프로젝트 생성, 에뮬레이터 실행까지 단계별로 다루며, 가상 환경 사용자도 참고할 수 있도록 문제 해결 팁과 설치 URL을 포함했습니다.

준비물

prepare.pngprepare.png클릭하여 확대


cmd 실행하기 cmd1.pngcmd1.png클릭하여 확대 cmd2.pngcmd2.png클릭하여 확대

1. Flutter 개발 환경 설정

1.1 Git 설치

Git은 Flutter 의존성 관리에 필요합니다.

git 없는 경우, git_missing.pnggit_missing.png클릭하여 확대

  1. 다운로드: https://git-scm.com/download/win 에서 최신 버전 다운로드
  2. 기본 설정으로 설치 진행
  3. 설치 확인:
  4. git --version

git 설치 git_install.pnggit_install.png클릭하여 확대

cmd 재시작 cmd_restart.pngcmd_restart.png클릭하여 확대

1.2 Flutter SDK 설치

  1. 다운로드: https://docs.flutter.dev/get-started/install/windows 에서 Windows용 ZIP 파일 다운로드
  2. C:\flutter에 압축 해제 (공백 포함 경로 피하기)
  3. 환경 변수 설정:
    • Windows 검색창 → "환경 변수 편집" → 시스템 PathC:\flutter\bin 추가
  4. 설치 확인:
  5. flutter --version

flutter 설치 flutter_install.pngflutter_install.png클릭하여 확대

압축풀기 unzip.pngunzip.png클릭하여 확대

환경변수 설정 env_var1.pngenv_var1.png클릭하여 확대 env_var2.pngenv_var2.png클릭하여 확대 env_var3.pngenv_var3.png클릭하여 확대 env_var4.pngenv_var4.png클릭하여 확대 env_var5.pngenv_var5.png클릭하여 확대

flutter 최초 실행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1.3 Java JDK 설치

Android 빌드에 필요한 JDK를 설치합니다.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1. 다운로드: https://adoptium.net/ (OpenJDK)
  2. 확인 (문제 발생시 4 진행)
  3. java --version
  4. 설치 후 환경 변수 설정:
    • JAVA_HOME: C:\Program Files\Java\jdk-17
    • Path%JAVA_HOME%\bin 추가

JDK 설치확인JDK 설치확인클릭하여 확대

1.4 Android SDK 설치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설치경로 설치 경로설치 경로클릭하여 확대

환경변수 설정

환경변수 설정환경변수 설정클릭하여 확대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ANDROID_HOME 추가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Android Studio 없이 CLI로 Android SDK를 설정합니다.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1. 다운로드: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command-line-tools-only 에서 Command Line Tools 다운로드
  2. C:\android-sdk에 압축 해제
  3. 환경 변수 설정:
    • ANDROID_HOME: C:\android-sdk
    • Path%ANDROID_HOME%\emulator 추가
    • Path%ANDROID_HOME%\cmdline-tools\latest\bin 추가
  4. 필요한 SDK 패키지 설치:
  5. sdkmanager "platform-tools" "platforms;android-33" "build-tools;33.0.2" "emulator" "system-images;android-33;google_apis;x86_64"
  6. 라이선스 동의:
  7. sdkmanager

sdkmanager "platform-tools" "platforms;android-33" "build-tools;33.0.2" "emulator" "system-images;android-33;google_apis;x86_64"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sdkmanager --licenses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flutter doctor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flutter pub get image.pngimage.png클릭하여 확대

1.5 Flutter Doctor 실행

환경 설정 상태를 점검합니다.

flutter doctor

  • 오류가 있다면 지시에 따라 수정 (예: Android 라이선스 동의)

2. CLI로 Flutter 프로젝트 생성

  1.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 cd C:\Users\<사용자명>\Desktop
  2. 새 프로젝트 생성: flutter create my_app cd my_app
  3. 의존성 설치: flutter pub get

3. 에뮬레이터 설정 및 앱 실행

3.1 Android 에뮬레이터 설정

  1. 가상 기기 생성:
  2. avdmanager create avd -n Pixel_6 -k "system-images;android-33;google_apis;x86_64"
  3. 에뮬레이터 실행:
  4. emulator -avd Pixel_6

3.2 앱 실행

  1. 연결된 디바이스 확인:
  2. flutter devices
  3. 앱 빌드 및 실행:
    • 기본 Flutter 앱(카운터 앱)이 에뮬레이터에서 실행됩니다.
    • 첫 빌드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4. flutter run

4. 가상 환경에서의 주요 문제와 해결 방법

가상 환경(VirtualBox, VMware, Hyper-V 등)에서는 추가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하드웨어 가속 오류:
    • 문제: "HAXM is not installed" 또는 "VT-x is disabled" 오류
    • 해결: 호스트 PC의 BIOS에서 VT-x/AMD-V 활성화, 가상 머신에서 "Nested VT-x" 옵션 체크
  2. 에뮬레이터 느림:
    • 해결: 가상 머신에 CPU 2코어, RAM 8GB 이상 할당, x86_64 이미지 사용
  3. 네트워크 문제:
    • 해결: 가상 머신 네트워크를 NAT/Bridge로 설정, 호스트 방화벽에서 포트 443 허용
  4. ADB 연결 실패:
    • 해결: adb devices로 확인, emulator -avd <AVD_NAME> 재실행
  5. 디스크 공간 부족:
    • 해결: 가상 머신 디스크 크기 확장, 최소 10GB 여유 확보

5. 추가 팁

  • 물리적 디바이스 사용: USB로 안드로이드 기기를 연결하고 개발자 모드 활성화 후 flutter run
  • 핫 리로드: 실행 중 r 입력으로 앱 새로고침
  • 문제 진단: flutter doctor로 환경 점검, flutter run --verbose로 상세 로그 확인
  • 프로젝트 커스터마이징: lib/main.dart 수정으로 UI 변경

마무리

Windows에서 CLI로 Flutter 개발 환경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첫 앱을 에뮬레이터에서 실행해 보았습니다! 가상 환경에서는 하드웨어 가속과 네트워크 설정에 특히 주의하세요. 추가 도움이 필요하면 https://www.threads.net/@water.developer 에서 문의해 주세요. Flutter로 멋진 앱 개발을 시작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