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코딩 없이 데이터 분석에 도전하다
"코딩을 몰라도, AI 도구를 사용해 공공데이터를 시각화하고 환경 문제를 탐구할 수 있다면?"
이제는 코딩을 몰라도 누구나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이번 시리즈의 첫 번째 글에서는 AI 도구를 활용하여 2022년 전국 조류 유리창 충돌사고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코딩 지식이 없는 사람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 이 글은 누구를 위한 글인가요?
- 코딩이 어려운 데이터 분석 입문자
- AI 도구를 활용해 데이터 시각화를 해보고 싶은 분
- 환경 보호와 조류 충돌 문제에 관심 있는 독자
이 내용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내용
- 공공 데이터 찾기
- 무료로 AI 코딩 요청하기
- 작동하는 나만의 대시보드
공공데이터로 조류 유리창 충돌사고를 분석해보자
1. 어떤 데이터를 사용할까?
-
데이터 출처
- 공공데이터 포털:](https://www.data.go.kr/):) 전국 조류 유리창 충돌사고 데이터
- NIE 에코뱅크:](https://www.nie-ecobank.kr/):) 2022년 조류 유리창 충돌사고 상세 데이터
-
데이터 내용
- 사고 발생 지역, 시간대, 건물 유형별 충돌 건수 등
-
왜 중요한가?
- 조류 유리창 충돌은 매년 수많은 새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환경 문제입니다. 데이터를 통해 위험 요인을 파악하면, 조류를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세울 수 있습니다.
dashboard1.png클릭하여 확대
2. AI 도구로 코딩 없이 시각화하기
AI 활용 방법
- 데이터 준비: CSV 파일 다운로드 후 결측치 및 불필요한 열 정리 (AI 도구로 쉽게 가능)
- AI에게 질문하기: "이 데이터를 지역별로 시각화하는 코드를 만들어줘"
- 코드 복사-붙여넣기: 복잡한 코딩 없이 AI가 만든 코드를 사용
# 지시
html 코드 작성해.
# 내용
- 첨부파일(csv) 같은 형태의 파일 업로드후에 분석 진행해야해.
- 지도위에 좌표 표시해
- 데이터 시각화해.
- 오류없이 작동해야해. 잘 점검해.
3. 단계별 데이터 시각화 과정
3.1. 데이터 불러오기
-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CSV 파일 다운로드
- Tableau, Google Data Studio에 데이터 업로드
3.2. 시각화 유형 선택
- 지도 시각화: 지역별 조류 충돌 건수
- 막대그래프: 시간대별 사고 빈도
- 파이차트: 건물 유형별 충돌 비율
3.3. AI 코드 생성 예시
-
ChatGPT에게 다음과 같이 요청
- "서울, 부산, 대구 지역별 충돌 건수를 지도에 표시하는 Python 코드를 작성해줘"
- "시간대별 충돌 빈도를 시각화하는 막대그래프 코드를 작성해줘"
3.4. 결과 확인
-
생성된 차트를 해석하며 인사이트 도출
-
예시
- 아침 시간대 사고가 집중
- 상업용 건물에서 충돌이 빈번
4. 데이터로 찾은 인사이트
- 대도시에서 충돌 빈발: 유리 건물, 야간 조명 영향
- 시간대별 패턴: 새들의 이동 시간과 충돌 연관
- 건물 유형 차이: 반사 유리가 많은 상업용 건물 위험성
5. 코딩 초보자를 위한 팁
-
AI에게 구체적으로 질문하기
- "파이차트 만드는 코드"보다 "2022년 건물 유형별 충돌 비율을 파이차트로 시각화하는 Python 코드를 만들어줘"가 더 효과적
-
문제 해결 팁
- 데이터 오류, 시각화 도구 에러 → AI에게 해결법 직접 질문
-
추천 자료
- 공공데이터 포털 가이드](https://www.data.go.kr/iim/infStep.do))
- Python 기초 강의
6. 마무리: 누구나 할 수 있는 데이터 시각화
코딩을 몰라도 AI 도구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시각화하고 환경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세상이 열렸습니다. 데이터를 보는 힘은 문제를 해결하는 힘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bird-sightings-visualizer.lovable.app
2025-06-19_12-00.png클릭하여 확대
다음 편에서는 또 다른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시각화에 도전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