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 소개 (10분)
    • 환영 인사 및 해커톤 목표 설명
    • 참가자 간 간단한 자기소개
    • 주제 또는 문제 발표 (필요 시 사전 설정된 주제 공유)

예) LG U+ 해커톤 https://www.youtube.com/watch?v=SISGvQju29k

  • 브레인스토밍 (40분)

    • 참가자들 간 아이디어 공유 및 토론
    • 팀 구성 (필요 시)
    • 주요 아이디어 선정 및 간단한 계획 수립
  • 아이디어 공유 (40분)

    • 개발자 및 경험자 중심의 토론
    • 제품화 과정에서의 예상 기술적/비기술적 어려움 공유
    • 현실적인 해결 방안 제안 및 피드백
    • 필요 시 간단한 프로토타입 아이디어 스케치
  • 마무리 및 피드백 (30분)

    • 팀별 또는 개인별 결과 요약 발표 (1-2분/팀)
    • 전체 피드백 및 향후 계획 논의
    • 네트워킹 및 마무리

목표

  • 프로젝트 주제 선정

팀과 함께 구현 가능한 아이디어를 선택해 간단한 프로젝트를 구상한다.

  • 아이디어 형태
    • 웹사이트
    • 모바일 앱
    • SNS 콘텐츠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 고려사항
    • 소규모로 빠르게 진행 가능한 목표 설정
    • 내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결과물
    • 팀원 및 주변 사람들의 피드백 반영

비고

  • 시간은 2시간으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각 세션은 간결하고 집중적으로 진행.
  • 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 도출에 중점을 두되, 실행 가능성을 고려.
  • 제품화 어려움 논의 시, 개발자 외 비개발자의 시각도 포함해 다양한 관점 수집.
  • 필요 시 시간 조정 가능 (예: 브레인스토밍 5분 연장 시 마무리 5분 단축).

아이디어 구현체

정규 일정 예시)

시간단계기획자 주요 활동체감 및 역할
Day 1
14:00~17:00
(3시간)
오프닝 및 팀 빌딩- 오리엔테이션 듣기: 주제, 규칙 이해
- 팀 구성: 팀원들과 역할 논의, 기획자 역할 확정
- 초기 아이데이션: 주제에 맞는 문제 정의, 솔루션 아이디어 제안
- 설렘과 약간의 긴장. “내 아이디어가 통할까?” 걱정
- 팀원들과 첫 소통하며 적극적으로 의견 제시
- 사용자 관점에서 아이디어 내는 데 강점
Day 1
17:00~23:00
(6시간)
기획 및 초기 작업- 기획 구체화: 사용자 시나리오, 서비스 컨셉 정리
- 문서화: 요구사항, 스토리보드 초안 작성
- 팀원 피드백: 개발자/디자이너와 구현 가능성 논의
- 몰입감 최고조. 팀의 방향성 잡는 데 핵심 역할
- 비개발자로서 코드 관련 논의 이해 노력
- 간식 타임에 팀원들과 친밀감 ↑
Day 1
23:00~03:00
(4시간)
야간 작업 및 휴식- 프로토타입 피드백: 초기 결과물 테스트, 사용자 관점 의견 제공
- 발표 초안: 프레젠테이션 흐름 구상
- 휴식: 야식 먹으며 팀원들과 가벼운 대화
- 피로감 시작, 하지만 팀 목표로 동기부여
- 테스트/피드백에서 직관적 기여
- 휴식 중 네트워킹으로 에너지 충전
Day 2
08:00~15:00
(7시간)
마무리 작업 및 발표 준비- 최종 피드백: 프로토타입 테스트, UX 개선 제안
- 발표 자료 완성: 슬라이드 제작, 발표 리허설
- 데모 지원: 시연 시나리오 정리
- 마감 압박 속 집중력 ↑. “잘 마무리해야지!” 다짐
- 발표자 역할 맡아 리허설로 자신감 ↑
- 팀 결과물에 자부심
Day 2
15:00~18:00
(3시간)
발표 및 시상- 발표: 팀 대표로 발표하거나 시연 지원 (3~5분)
- Q&A 대응: 심사위원 질문에 사용자 관점 답변
- 시상 및 마무리: 피드백 듣고 네트워킹
- 긴장과 기대의 클라이맥스. 발표 후 해방감
- 팀 기여에 뿌듯함, 비개발자 역할로 큰 성취감
- 네트워킹으로 새로운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