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업자와 웹 배포 기초를 알아야 할까?
기술을 배우는 게 아니라, 사기 당하지 않고 현명해지는 법
🎯 전제: 깊이 배울 필요는 없다
- 코드를 짤 필요 ✖️
- 직접 개발할 필요 ✖️
- 기술 전문가 될 필요 ✖️
단, 이 정도는 알아야:
- "도메인이 뭐지?"
- "호스팅이 뭐지?"
- "이 비용이 합리적인가?"
- "업체가 나를 속이고 있나?"
image.png클릭하여 확대
💡 알아야 하는 5가지 이유
1. 💰 외주 비용 폭탄 방지 (연 수백만원 절약 가능)
📌 실제 사례: 홈페이지 제작 외주
모르면 당하는 경우:
업체: "홈페이지 제작 200만원, 호스팅 월 30만원입니다"
사장: "그런가보다... (계약)"
→ 1년 후: 200만 + (30만 × 12) = 560만원 지출
→ 실제 원가: 호스팅 월 2만원 (연 24만원)
→ 피해액: 연 336만원 과다 지출
조금만 알면:
업체: "호스팅 월 30만원입니다"
사장: "Vercel은 무료인데 왜 30만원이죠?"
업체: "아... 그럼 월 5만원으로 해드릴게요"
→ 1년 절약액: (30만-5만) × 12 = 300만원
📊 실제 비용 vs 과다청구 비교
| 항목 | 실제 비용 | 흔한 외주 청구 | 과다청구 |
|---|---|---|---|
| 도메인 | 연 3만원 | 연 10만원 | 7만원 |
| 호스팅 (소규모) | 무료~월 2만 | 월 20~50만원 | 연 216~576만원 |
| SSL 인증서 | 무료 | 연 30만원 | 30만원 |
| DNS 관리 | 무료 | 월 5만원 | 연 60만원 |
| 연간 총 피해 | - | - | 연 313~673만원 |
💡 핵심 인사이트
"호스팅이 뭔지만 알아도 연 300만원은 절약한다"
2. 🔒 소유권 분쟁 예방 (사업 생존의 문제)
📌 실제 사례: 도메인 인질극
모르면 당하는 경우:
2020년: 업체에 홈페이지 제작 의뢰
2021년: 업체와 계약 종료 원함
업체: "도메인은 저희 명의라 이전 안 됩니다"
"이전 원하시면 300만원 주세요"
사장: "내 사이트인데??"
→ 결과:
옵션 1) 300만원 지불
옵션 2) 도메인 포기 (myshop.com → myshop2.com)
옵션 3) 법적 분쟁 (시간+돈)
조금만 알면:
계약 전: "도메인은 제 명의로 등록해주세요"
업체: "네, Gabia에 사장님 이름으로 등록하겠습니다"
→ 결과: 언제든 업체 교체 가능, 소유권 분쟁 없음
🚨 소유권 체크리스트
| 항목 | 위험한 경우 | 안전한 경우 |
|---|---|---|
| 도메인 소유자 | 업체 이름 | 내 이름 ✅ |
| 호스팅 계정 | 업체 계정 | 내 계정 ✅ |
| 코드 저장소 | 업체만 접근 | 내가 접근 가능 ✅ |
| 이메일/비밀번호 | 업체가 관리 | 내가 알고 있음 ✅ |
💡 핵심 인사이트
"도메인이 뭔지만 알아도 사업 인질이 되지 않는다"
3. ⚡ 의사결정 속도 10배 향상
📌 실제 사례: 긴급 수정 요청
모르면:
상황: 홈페이지에 오타 발견 (급함!)
사장 → 업체: "오타 수정 부탁드립니다"
업체: "확인했습니다. 견적서 보내드릴게요"
견적: 10만원 (30분 작업)
사장: "오타 하나에 10만원...?"
업체: "긴급 작업이라 할증입니다"
→ 수정까지 3일 소요, 10만원 지출
조금만 알면:
상황: 홈페이지에 오타 발견
사장: GitHub에 접속 → 텍스트 찾아서 수정 → 저장
(또는 개발자 지인에게 부탁)
→ 10분 해결, 0원
📊 속도 비교
| 작업 | 모를 때 | 알 때 | 시간 절약 |
|---|---|---|---|
| 오타 수정 | 3일 | 10분 | 99% |
| 이미지 교체 | 2일 | 30분 | 96% |
| 메뉴 추가 | 1주 | 1시간 | 99% |
| 호스팅 이전 | 2주 (업체 협조) | 1일 | 93% |
💡 핵심 인사이트
"기본만 알아도 모든 결정이 빨라진다"
4. 🎓 교사의 경우: 학생 미래 준비
📌 교사가 알아야 하는 이유
A. 진로 지도 역량
학생: "선생님, 웹 개발자는 뭐 하는 직업이에요?"
교사 (모르면): "음... 홈페이지 만드는 사람?"
교사 (알면): "프론트엔드는 화면을 만들고,
백엔드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DevOps는 배포/운영을 담당해.
GitHub, Vercel 같은 도구를 쓰지."
→ 학생은 구체적인 진로 로드맵 획득
B.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2025년 현재:
- 초등학생도 노코드 툴로 웹사이트 제작
- 중학생이 GitHub로 협업 프로젝트
- 고등학생이 창업 아이템을 직접 배포
교사가 모르면 → 학생 프로젝트 지도 불가
교사가 알면 → "GitHub에 올려서 포트폴리오로 만들어봐"
C. 학교 웹사이트 개선 제안
학교: 홈페이지 개편 예산 500만원 책정
교사 (모르면): "전문가들이 알아서 하겠지"
교사 (알면): "Vercel로 하면 호스팅 무료인데
왜 월 30만원 호스팅비를 책정했죠?
200만원으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 학교 예산 300만원 절약
📊 교사 역량 변화
| 영역 | 모를 때 | 알 때 |
|---|---|---|
| 진로 지도 | 추상적 조언 | 구체적 로드맵 ✅ |
| 프로젝트 수업 | "알아서 해봐" | 기술 멘토링 ✅ |
| 학교 예산 | 무관심 | 합리적 검토 ✅ |
| 온라인 수업 자료 | 외부 의존 | 직접 제작 ✅ |
💡 핵심 인사이트
"교사가 알면 학생 100명의 미래가 바뀐다"
5. 🚀 사업 확장 가능성 확보
📌 실제 사례: 사업 성장 단계
Stage 1: 창업 (모를 때)
사장: 홈페이지 외주 (200만원)
→ 업체 계정으로 구축
→ 수정할 때마다 비용 청구
→ "그냥 이대로 쓰자..." (개선 포기)
Stage 1: 창업 (알 때)
사장: 홈페이지 외주 (200만원)
→ 내 계정으로 구축 요구
→ GitHub 코드 소유
→ 필요 시 다른 업체와도 협업 가능
→ 지속적 개선
Stage 2: 성장 (모를 때)
상황: 쇼핑몰 기능 추가 필요
사장: 기존 업체에 의뢰
업체: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500만원"
사장: "어쩔 수 없네..." (비용 부담)
Stage 2: 성장 (알 때)
상황: 쇼핑몰 기능 추가 필요
사장: GitHub 코드 있음
→ 3개 업체에 견적 요청
→ 기존 코드 기반으로 추가만 하면 됨
업체들: "150만원", "200만원", "180만원"
사장: 150만원 업체 선택
→ 350만원 절약
Stage 3: 확장 (알 때만 가능)
상황: 해외 진출 (영어 버전 필요)
사장: Vercel 설정으로 다국어 배포
→ 추가 비용 거의 없음
→ 각 국가별 도메인 연결
상황: 프랜차이즈 확장
사장: 기존 코드를 템플릿으로
→ 각 지점별 웹사이트 빠르게 복제
→ 통합 관리 가능
📊 사업 단계별 차이
| 단계 | 모를 때 | 알 때 | 차이 |
|---|---|---|---|
| 창업 | 종속 | 독립 | 자유도 |
| 성장 | 고비용 | 저비용 | 비용 효율 |
| 확장 | 제한적 | 유연함 | 확장성 |
| 전환 | 불가능 | 가능 | 선택권 |
💡 핵심 인사이트
"알면 사업이 커질 수 있고, 모르면 그 자리에 머문다"
🎯 결론: 얼마나 알아야 하나?
✅ 이 정도만 알면 충분
30분이면 이해 가능한 핵심:
-
도메인 = 가게 주소
- 내 이름으로 등록해야 함
- 연 3만원 정도 (업체가 연 10만원 부르면 거부)
-
호스팅 = 가게 건물
- 내 계정으로 만들어야 함
- 무료~월 2만원 (업체가 월 30만원 부르면 거부)
-
GitHub = 설계도 보관함
- 코드는 내가 소유해야 함
- 무료 (업체가 돈 달라고 하면 거부)
-
Cloudflare = 택배 허브
- 선택사항이지만 무료니까 쓰면 좋음
- 업체가 돈 받으려 하면 거부
-
개발자는 인테리어 업체
- 건물(호스팅)은 내 거
- 주소(도메인)도 내 거
- 설계도(코드)도 내 거
- 업체는 '꾸미기'만 대행
✅ 이렇게 활용하세요
| 상황 | 활용법 |
|---|---|
| 외주 견적 받을 때 | "도메인/호스팅은 제 명의로요" |
| 계약서 쓸 때 | "코드 소유권은 저한테요" |
| 비용 청구받을 때 | "Vercel 호스팅은 무료인데요?" |
| 업체 교체할 때 | "GitHub 주소 주세요" |
📚 추천 학습 시간
| 대상 | 학습 시간 | 학습 범위 |
|---|---|---|
| 사업자 | 1~2시간 | 개념 + 외주 체크리스트 |
| 교사 | 3~5시간 | 개념 + 학생 지도 방법 |
| 담당자 | 5~10시간 | 개념 + 기본 실습 |
💼 실전 체크리스트
사업자용: 외주 계약 전 확인사항
□ 도메인 소유자가 내 이름(사업자명)인가?
□ 호스팅 계정이 내 이메일로 만들어지나?
□ GitHub 코드에 내가 접근할 수 있나?
□ 계약 종료 시 모든 자료를 받을 수 있나?
□ 월 비용 항목이 명확히 기재되었나?
□ 추가 작업 단가가 합의되었나?
□ 업체가 도메인/호스팅 원가를 속이지 않았나?
교사용: 학생 지도 체크리스트
□ GitHub 계정 만들기 지도 가능한가?
□ 학생 프로젝트를 Vercel에 배포 도와줄 수 있나?
□ 진로 상담 시 구체적인 직업 설명 가능한가?
□ 학교 웹사이트 예산 검토 가능한가?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계획이 있나?
🎓 마무리: 이것만은 기억하세요
3가지 핵심 원칙
-
소유권은 항상 내게
- 도메인, 계정, 코드 모두 내 것
-
원가를 알자
- 호스팅: 무료~월 2만원
- 도메인: 연 3만원
- SSL: 무료
-
종속되지 말자
- 언제든 업체 교체 가능하게
- "이전 불가"는 사기
당신이 할 일
- ✅ 이 문서 프린트해서 책상에 붙이기
- ✅ 외주 계약 시 체크리스트 확인
- ✅ 지인 중 피해자 있으면 공유하기
- ✅ 필요하면 30분짜리 강의 듣기
"기술을 다 알 필요는 없다.
단, 속지 않을 만큼은 알아야 한다."
작성일: 2025년 11월
대상: 비기술 사업자, 교사, 자영업자
목적: 외주 사기 예방, 합리적 의사결정